자동차를 선택하는 요소 중에 가장 크게 작용하는 것 중 하나는 외관 디자인일 것이다. 각진 단단해 보이는 남성적인 디자인의 차량을 선호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미끈하게 뻗은 곡선으로 날렵해 보이는 디자인을 좋아하는 등 다양한 취향이 존재한다.
선호하는 디자인의 차량을 선택하고 나서 보다 더 멋지고 돋보일 수 있도록 자동차 휠 사이즈를 키우거나, 줄이는 등 비용을 아까지 않는 운전자가 많아졌다.
휠 사이즈를 무작정 키우는 것에 대한 많은 장, 단점이 있다는 것 또한 수많은 정보를 통해 들었을 터, 오늘은 자동차 휠에 높은 비용을 들여 투자하는 자동차 마니아들과 달리 신차를 구입할 때 옵션에 따라 달라지는 휠 사이즈를 두고 망설이는 운전자들을 위해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자.
내게 맞는 휠 사이즈 선택
과거의 자동차에 비해 최근 출시되는 신차들의 경우 휠 사이즈의 선택의 폭이 많아졌으며, 사이즈 크기 또한 커졌다. 멋있게 보이기 위해 휠 사이즈만 키웠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본인 차량의 딱 맞는 제원보다 1~2인치 큰 휠을 선택하여 장착하는 것이 유행이었다. 인치업을 하기 위해서는 휠과 타이어를 같이 바꾸어야 했고, 커진 바퀴로 인한 간섭이 생길 경우 펜더를 넓게 펴서 억지로 휠을 구겨 넣은 듯 한 퍼포먼스를 보여주기도 했다.
사이즈가 큰 휠을 내 차에 장착하기 위해서 많은 것들이 변경되어야 했고,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많은 비용의 투자가 필요했다.
하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 차량을 선택할 때 "16, 17, 18"등 같은 차종에서도 다양한 휠 사이즈를 선택하여 차량을 출고할 수 있으니 말이다.
이렇게 다양한 사이즈의 휠을 선택할 수 있게 된 것은 자동차의 기본기가 좋아졌다고 말할 수 있다. 큰 휠을 장착하고 무리 없이 달리기 위해서는 하체와 동력성능이 좋아져야 가능한 일이다.
서스펜션의 세팅이나, 엔진의 퍼포먼스가 우수해졌기 때문에 다양한 사이즈의 휠을 선택하게 할 수 있게 된것이다.
또한 다양한 인치의 순정 휠은 사이즈가 달라도 바퀴 직경 사이즈는 똑같기 때문에 인치가 커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단점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
(초보자 TIP : 휠이 작으면 타이어 사이드 면이 높고, 휠이 크면 타이어 사이드 면이 낮기 때문에 직경은 똑같게 된다)
큰 휠 선택 시 장점은?
휠 인치가 커지면 가장 먼저 가득 차 보이는 하체에서 당당한 모습을 볼 수 있다. 디자인이 멋있어 짐과 동시에 주행 안전성과 코너링이 좋아진다.
휠이 커지면 사이드 월이 얇아지는데 (편평비) 노면으로부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타이어의 층이 얇아지다 보니 주행 중 차체의 자세가 안정적이게 되며, 민첩한 핸들링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쉽게 말해 차체의 롤링 (좌우로 꿀렁임) 현상이 줄어들게 되어 낮은 인치의 차량에 비해 조종안전성이 좋아지게 되는 셈이다. 또한 인치가 높아질수록 타이어의 면적이 넓어져 접지력이 향상된다.
제동력을 높이기 위해 값비싼 브레이크 시스템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사이즈가 큰 휠일수록 유리하다. 순정 대비 디스크 및 캘리퍼의 크기가 커 대부분 18인치 이상의 휠에만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17인치 휠에도 적용 가능한 브레이크 시스템도 제작되어 출시되고있다.
단점, 잃는 것은 무엇인가?
휠이 커지게 되면 무게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 무거운 휠을 장착한 자동차는 가속에 필요한 더 많은 힘을 내야 하므로 연료 사용량이 많아져 연비가 낮아지고, 가속도 느려진다.
같은 차종에서 휠 인치만 다를 경우 "17인치 VS 18인치" 자동차 제조사가 측정한 평균 연비에는 분명한차이를 나타낸다. 많은 차이는 보이지 않는다. 복합 연비 리터당 0.5km/L 정도의 미비한 차이를 보이지만 장기간을 계산해보면 무시할만한 수치는 아니다. (운전 습관에 따라 다를 수 있음)
가장 큰 단점으로는 편평비가 얇아짐에 따라 노면의 충격 흡수 능력이 편평비가 높은 차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승차감이 나빠진다.
이뿐만 아니다. 타이어를 교체하게 될 때 사이즈가 커짐에 따라 비용이 또한 높아진다.
마치며...
고성능 차량에 큰 사이즈의 휠이 달려있는 것을 자주 목격할 수 있다. 주행성능과 조종안전성에 포커스를 맞추어 세팅된 차량이므로 단점보다 장점만을 앞세울 수 있다.
편안하고, 경제적으로 자동차를 운용하는 사람에게는 큰 사이즈의 휠을 선택했을 때 그로 인해 발생하는 단점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순정 차량의 "16, 17, 18" 인치의 선택의 기로에 섰다면, 운행 습관과 패턴에 따라 본인에게 먼저 어필하는 부분을 생각하여 선택하는 것이 옳다.
스타일, 코너링, 안정성
VS
연비, 승차감, 비용
'자동차 상식&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로 표지판 "IC 나들목, JC 갈림목" 어떤 차이가 있을까? (0) | 2018.06.08 |
---|---|
미끄럼 사고를 예방하는 운전 기법, 카운터 스티어링에 대해 (0) | 2018.06.08 |
견인"렉카차"질주 어디까지 양보해야 할까? (0) | 2018.06.08 |
G70, S350, X4? 소비자의 심리를 이용한 모델 작명 방식 (0) | 2018.06.08 |
덤프트럭이 부딪혀도 끄떡없다! 보행자를 지키는 이것? (0) | 2018.06.08 |